안녕하세요!
이제 막 코인에 입문하게 되었는데
롱, 숏, 김프 등등 알수 없는용어 때문에 머리아프신 적이 있으신가요?
그래서 코린이들을 위한 필수 코인 용어 정리를 준비했습니다!
용어만 정확히 알아도 당당해지고 트레이딩에 한 발짝 더 다가갈수 있습니다.
이제부터는 용어를 습득하고 자신 있게 코인 세계에 발을 디뎌보세요!
코인 용어 50선
1. 비트코인 (Bitcoin) 세계 최초의 탈중앙화 디지털 통화입니다. 중앙기관 없이 개인 간 송금이 가능하며,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합니다.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가 2009년에 개발했습니다.
2. 이더리움 (Ethereum) 스마트 계약 기능을 갖춘 분산형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 2015년에 개발했습니다.
3. 블록체인 (Blockchain) 거래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묶어 연결한 분산형 장부입니다.
위변조가 어렵고 투명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4. 지갑 (Wallet) 암호화폐를 저장하고 송금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장치를 말합니다.
5. 공개키 (Public Key)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신원을 확인하거나 송금을 받을 때 사용하는 주소입니다.
6. 개인키 (Private Key) 암호화폐 지갑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비밀키입니다. 절대로 외부에 노출되어서는 안 됩니다.
7. NFT (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고유 디지털 자산을 의미합니다. 주로 예술품, 게임 아이템 등에 활용됩니다.
8. 스테이킹 (Staking) 보유한 암호화폐를 네트워크에 예치하고, 그에 따른 보상을 받는 방식입니다.
9. 디파이 (DeFi) 중앙기관 없이 블록체인과 스마트 계약을 기반으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입니다.
10. 김프 (Kimchi Premium) 김치 프리미엄, 한국의 가상자산 시장에서 해외보다 높은 가격에 거래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국내 거래소의 수요 증가, 외환 규제, 자본 유입 제한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11. 스마트 계약 (Smart Contract)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계약입니다. 주로 이더리움에서 사용됩니다.
12. 토큰 (Token) 블록체인 플랫폼 위에서 발행된 디지털 자산으로, 코인과는 발행 구조가 다릅니다.
13. 마이닝 (Mining) 블록체인 거래를 검증하고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여 보상으로 암호화폐를 얻는 과정을 말합니다.
14. 반감기 (Halving) 채굴 보상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시기입니다. 주로 비트코인에 적용됩니다.
15. 하드포크 (Hard Fork) 기존 체인과 호환되지 않는 블록체인 업그레이드로, 체인이 분리될 수 있습니다.
16. 소프트포크 (Soft Fork) 기존 체인과 호환되는 업그레이드로, 전체 네트워크가 하나의 체인으로 유지됩니다.
17. 레저 (Ledger) 모든 거래 기록을 담는 장부로, 블록체인 자체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18. 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 중앙 서버 없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애플리케이션입니다.
19. ICO (Initial Coin Offering) 프로젝트 자금 조달을 위해 일반 투자자에게 초기 토큰을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20. IDO (Initial DEX Offering) 탈중앙화 거래소(DEX)를 통해 진행되는 토큰 판매 방식입니다.
21. IEO (Initial Exchange Offering) 중앙화 거래소(CEX)가 진행하는 토큰 판매 방식입니다.
22. 가스비 (Gas Fee)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거래나 계약 실행에 필요한 수수료입니다.
23. 사이드체인 (Sidechain) 메인 블록체인의 부하를 분산하기 위한 별도의 독립 블록체인입니다.
24. 브릿지 (Bridge) 서로 다른 블록체인 간 자산을 전송하는 기술입니다.
25. 노드 (Node)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참여자로, 거래 검증 및 저장을 담당합니다.
26. 메인넷 (Mainnet) 실제 거래가 이루어지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입니다.
27. 테스트넷 (Testnet) 블록체인 기술을 실험하거나 테스트할 수 있는 별도의 네트워크입니다.
28. 디지털 자산 (Digital Asset) 블록체인에 기록된 암호화폐, NFT 등 모든 형태의 디지털 가치를 말합니다.
29. 밈코인 (Meme Coin) 인터넷 밈이나 유행에서 출발한 암호화폐로, 투기성이 강한 경우가 많습니다.
30. 에어드롭 (Airdrop) 특정 조건을 만족한 사용자에게 암호화폐를 무료로 배포하는 마케팅 전략입니다.
31. 스왑 (Swap) 하나의 코인을 다른 코인으로 교환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32. 체인 (Chain) 블록체인의 기본 구조로, 거래 정보가 순차적으로 기록된 블록들의 연결입니다.
33. DEX (Decentralized Exchange) 탈중앙화된 거래소로, 중개자 없이 개인 간 직접 거래가 가능합니다.
34. CEX (Centralized Exchange) 회사가 운영하는 중앙화된 암호화폐 거래소입니다.
35. 펌핑 (Pumping) 가격이 단기간에 급등하는 현상으로, 세력에 의해 인위적으로 유도될 수 있습니다.
36. 덤핑 (Dumping) 보유 코인을 대량 매도하여 가격이 급락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37. 유동성 (Liquidity) 자산을 빠르게 사고팔 수 있는 정도를 말합니다. 유동성이 높을수록 거래가 원활합니다.
38. 스캠 (Scam) 투자자를 속여 금전을 갈취하는 사기성 프로젝트입니다.
39. 라이트페이퍼 (Litepaper) 프로젝트 개요를 간략히 설명한 문서로, 백서보다 요약된 형태입니다.
40. 백서 (Whitepaper) 암호화폐 프로젝트의 철학, 구조, 기술 등을 설명한 공식 문서입니다.
41. 토큰노믹스 (Tokenomics) 토큰의 발행량, 유통 구조, 보상 체계 등을 포함한 경제적 모델입니다.
42. 가상자산사업자 (VASP) 가상자산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나 회사를 의미합니다.
43. 트래블룰 (Travel Rule) 암호화폐 송수신 시 송금인과 수취인의 정보를 공유해야 하는 국제 규제입니다.
44. KYC (Know Your Customer) 고객의 신원을 확인하고 검증하는 인증 절차입니다.
45. AML (Anti-Money Laundering) 자금세탁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 및 정책을 의미합니다.
46. CBDC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중앙은행이 발행한 디지털 화폐로, 국가가 보증하는 전자화폐입니다.
47. 스테이블코인 (Stablecoin) 달러 등 법정화폐에 가치를 고정시킨 암호화폐입니다.
48. 시가총액 (Market Cap) 코인의 총 발행량에 현재 가격을 곱한 수치로, 시장 규모를 나타냅니다.
49. 해시레이트 (Hashrate)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계산 능력을 나타내며, 채굴의 효율성과 보안을 결정합니다.
50. 제네시스 블록 (Genesis Block) 블록체인의 가장 처음 블록으로, 네트워크의 출발점이 되는 블록입니다.
트레이딩 용어 50선
1. 롱 포지션 (Long Position): 자산의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매수하는 전략입니다.
2. 숏 포지션 (Short Position): 자산의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매도하는 전략입니다.
3. 스탑로스 (Stop Loss): 손실을 제한하기 위해 미리 설정해 놓은 가격에 자동으로 포지션을 종료하는 주문입니다.
4. 테이크 프로핏 (Take Profit): 수익을 실현하기 위해 목표 수익 가격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포지션을 종료하는 주문입니다.
5. 레버리지 (Leverage): 자신의 자본보다 더 큰 금액으로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6. 마진 (Margin): 레버리지를 사용할 때 필요한 최소한의 자본금입니다.
7. 청산 (Liquidation): 마진이 부족할 경우 강제로 포지션이 종료되는 것을 말합니다.
8. USDT 선물거래: 스테이블코인인 USDT를 기준으로 거래하는 선물거래 방식입니다.
9. 코인 선물거래: BTC, ETH 등의 코인을 증거금으로 사용하는 선물거래 방식입니다.
10. 마진콜 (Margin Call): 추가 자금 입금을 요구받는 경고 상황을 의미합니다.
11. 펀딩비 (Funding Fee): 롱과 숏 포지션 간 균형을 맞추기 위해 주기적으로 교환되는 수수료입니다.
12. 슬리피지 (Slippage): 주문을 넣은 가격과 실제 체결 가격 사이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13. 시장가 주문 (Market Order): 현재 시장에서 가장 유리한 가격으로 즉시 체결되는 주문 방식입니다. 체결수수료가 비쌉니다
14. 지정가 주문 (Limit Order): 사용자가 원하는 가격에 도달했을 때 체결되는 주문 방식입니다. 체결수수료가 저렴합니다
15. 주문 체결 (Order Execution): 주문이 실제로 매매가 이루어져 거래가 성립되는 것을 말합니다.
16. 호가창 (Order Book): 매수 및 매도 주문이 정렬되어 있는 거래소의 인터페이스입니다.
17. 캔들차트 (Candlestick Chart): 가격의 변동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차트입니다.
18. 거래량 (Volume): 일정 시간 동안 거래된 자산의 총량을 의미합니다.
19. 지지선 (Support Level): 가격이 하락하다가 반등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격대입니다.
20. 저항선 (Resistance Level): 가격이 상승하다가 저지당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격대입니다.
21. 브레이크아웃 (Breakout): 지지선이나 저항선을 돌파하며 발생하는 강한 가격 움직임입니다.
22. 데드크로스 (Dead Cross):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하향 돌파할 때 발생하는 하락 신호입니다.
23. 골든크로스 (Golden Cross):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할 때 발생하는 상승 신호입니다.
24. RSI (상대강도지수): 과매수 또는 과매도 상태를 판단하는 기술 지표입니다.
25. MACD: 이동평균선을 기반으로 추세 전환을 분석하는 기술 지표입니다.
26. CCI (상품채널지수): 현재 가격이 평균 가격과 얼마나 다른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27. 스캘핑 (Scalping): 짧은 시간 내에 소규모 수익을 여러 번 반복해 얻는 전략입니다.
28. 스윙 트레이딩 (Swing Trading): 수일에서 수주 간의 가격 변동을 활용하는 중기 전략입니다.
29. 포지션 트레이딩 (Position Trading): 수개월 이상 장기적인 관점에서 거래하는 전략입니다.
30. 트렌드 추종 전략: 상승 혹은 하락 추세를 따라 매매하는 전략입니다.
31. 역추세 전략 (Contrarian): 대중의 심리와 반대로 행동하여 수익을 노리는 전략입니다.
32. 헤징 (Hedging): 위험을 줄이기 위해 반대 포지션을 취하는 전략입니다.
33. 레인지 거래 (Range Trading): 특정 범위 내에서 반복적으로 매수와 매도를 수행하는 전략입니다.
34. 손절매 (Cut Loss): 손해를 더 키우기 전에 포지션을 정리하는 전략입니다.
35. 익절 (Take Profit): 목표 수익에 도달하면 수익을 확정짓는 행위입니다.
36. 볼린저 밴드: 가격의 변동성과 평균을 기준으로 매매 시점을 예측하는 지표입니다.
37. 이동평균선 (Moving Average): 가격의 평균값을 일정 기간 기준으로 나타낸 선형 지표입니다.
38. ATR (Average True Range): 변동성 분석을 위한 기술 지표로, 가격의 진폭을 측정합니다.
39. 피보나치 되돌림: 가격 조정 구간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 분석 도구입니다.
40. 변동성 돌파 전략: 일정 변동성을 초과하면 매수·매도하는 자동화 전략입니다.
41. 가치투자: 자산의 내재 가치를 기준으로 저평가된 종목에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42. 기술적 분석 (Technical Analysis): 차트 및 수치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래 가격을 예측하는 방식입니다.
43. 기본적 분석 (Fundamental Analysis): 기업이나 코인의 가치, 생태계 등을 평가하여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44. 백테스트 (Backtest):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략의 성과를 검증하는 과정입니다.
45. 시뮬레이션 트레이딩: 가상의 자금으로 실전처럼 연습할 수 있는 환경입니다.
46. 청산가격: 현재 포지션이 강제로 종료되는 가격 수준을 의미합니다.
47. 미실현 손익: 포지션을 종료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한 손익입니다.
48. 실현 손익: 포지션 종료 시 실제로 반영된 수익 또는 손실입니다.
49. 오더블럭 (Order Block): 기관투자자들의 대규모 주문이 몰리는 가격대를 말합니다.
50. 거래 심리학: 투자자들의 감정과 행동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학문입니다.
지금까지 코인과 트레이딩에 꼭 필요한 핵심 용어 100개를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처음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용어 하나하나 익히다 보면 어느새 시장 흐름도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모르는 단어가 나올 때마다 이 글을 다시 찾아보세요. 언제든 도움이 될 거예요
가상자산 시장은 빠르게 변하지만, 기본 개념을 아는 것이 가장 강력한 무기가 됩니다.
앞으로도 알기 쉬운 코인 정보를 계속 전해드릴 테니, 구독 부탁드립니다😊
'코인 입문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업비트 신규가입 방법 가이드를 통해 가입해보세요! (0) | 2025.08.01 |
---|---|
바이낸스 vs OKX vs 바이비트 vs 비트겟 완벽 비교 리뷰 (2) | 2025.07.27 |
해외 거래소 이용 전 알아야 할 트래블룰 핵심 정리 (1) | 2025.07.24 |
국내 4대 코인 거래소 비교 – 코린이를 위한 입문 가이드 (0) | 2025.07.23 |
코인 하지 마세요 진짜 하지 마세요 (2) | 2025.07.22 |